본문 바로가기
홍깡의 상식정보

[헌혈] 손흥민도 알고 BTS도 알고 있는 헌혈, 어디까지 알고 있니?

by 복스럽다 생뚱 2022. 9. 13.
반응형

대한민국 건강한 성인이라면 대부분은 헌혈 한번쯤은 해보셨을 텐데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혈액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작은 불편함이 따르더라도, 수혈이 필요한 환자를 위해서 소중한 생명 나눔이 필요한 때입니다.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손흥민 선수나 BTS와 같은 최고의 스타들도 하지 않았을까요?

 

손흥민선수 이미치(출처:naver)
손흥민선수 이미치(출처:naver)

 

◈ 함께 읽으면 유익한 글

 

 

우리나라 좋은나라, "대한민국" 국가명의 뜻과 유래는?

우리나라의 국호(國號)는 대한민국입니다. 보통은 한국이라고 부르고 외국인들은 코리아라고 부르고 있지만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인데요. ◈ 함께 읽으면 유익한 글 ◈ [상식] "토사

88class.com

 

[주택임대차] "여성"만 노리고 집보러 오는 사람, 조심해야 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주택을 매매하려거나 또는 임대하려는 경우에는 주변 공인중개사사무소(부동산사무소)의 중개를 통해 거래하거나 중개비용을 아끼고자 직접 거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은 "여

88class.com

 

[건강기능식품] "비타민"섭취가 독이 될 수 있다구요?

2013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이 건강기능식품(영양제)을 섭취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에는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D를 비롯하여 유산균,

88class.com

 

손흥민과 BTS도 알고 있는 헌혈, 소중한 생명 나눔의 가치

 

1. 헌혈 조건

헌혈은 전혈 헌혈과 성분헌혈이 있는데 전혈 헌혈은 1회당 10~15분 정도가 소요되며, 1회 헌혈후 8주가 경과되어야 다시 헌혈할 수 있고, 1년에 5회까지만 가능합니다. 성분헌혈 중 혈정헌혈은 1회당 30~40분 정도가 소요되고 1회 헌혈후 2주가 경과돠어야 할 수 있고, 년에 최대 24회까지 가능합니다.

 

전혈헌혈은 만 16세~69세 사이, 혈장 성분 헌혈은 만 17세~69세 사이, 혈소판 헌혈은 만 17세~59세 사이에 가능합니다. 헌혈 전에는 혈압과 맥박, 체온 측정 및 혈액형 검사를 하게 됩니다.

 

남성의 경우는 50kg 이상, 여성은 45kg 이상시 헌혈 가능하고 맥박은 분당 50~100회, 체온은 37.5도 이하일 때 가능합니다.

 

만약 인플루엔자, A형 간염, 일본뇌염 등 예방접종을 했을 때는 24시간 후 헌혈 가능하고, B형 간염 예방주사는 2주 후 가능하며, 홍역, 풍진, 수두 등 예방접종 시에는 4주가 경과되어야 헌혈할 수 있습니다.

 

외국을 여행한 경우에는 귀국 후 1개월이 지나야 가능하며, 수혈 경험자는 1년이 지나야 합니다. 특히 임산부나 유산을 한 경우에는 6개월 이후에 헌혈이 가능합니다.

 

2. 헌혈 위기 2020

2020년 헌혈은 약 261만 건으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헌혈 가능 인구 대비 헌혈률은 2008년  가장 낮은 66.3%를 기록하며 혈액 수급에 위기가 온 적도 있다고 합니다.

 

2020년 헌혈실적 (출처: 통계청)
2020년 헌혈실적 (출처: 통계청)

 

반응형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헌혈을 예정했던 단체의 일정 취소 등으로 인해 2020년 단체 헌혈은 약 66만 건으로 전체 헌혈의 25.2%의 비중을 차자하면서 2005년 통계 이래 처음으로 30% 미만의 수치를 기록할 정도로 위기라고 합니다.

 

단체헌혈 비중 (출처: 통계청)
단체헌혈 비중 (출처: 통계청)

 

매년 150만 명 이상이었던 헌혈자 수는 201년 이후로 점점 감소하여 2020년에는 약 128만 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원활하지 못한 혈액 수급으로 인해 혈액 보유량이 부족해져 헌혈 동참에 대한 안전 안내 문자가 발송된 해이기도 합니다.

 

3. 헌혈은 해본 사람이 또 한다?

1973년부터 2020년까지 헌혈을 한번이라도 해본 사람들은 평균 3.4회 헌혈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보건복지부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에는 국민 10명 중 7명이 '헌혈은 가치 있고 사회적으로 대접받아야 할 일'이라고 응답했다고 합니다.

 

헌헐 회수 (출처: 통계청)
헌헐 회수 (출처: 통계청)

 

4. 헌혈하면 건강이 해롭다?

전체 혈액량의 15%는 비상시를 대비해 여분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헌혈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건강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합니다. 또한 헌혈 후 1~2일 정도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혈관 내외의 혈액순환이 회복된다고 합니다.

 

◈ 함께 읽으면 유익한 글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대한민국" 국가명의 뜻과 유래는?

스마트폰으로 잘못 송금한 돈, 빠르게 돌려받는 방법은?

화폐(지폐)가 손상되었을 때 교환 방법과 기준은?

[대여금 / 소장 작성] 돈을 빌려줬는데 안 갚을 때 혼자 소송하는 방법

[부동산 / 임대차 상속(1편)] 임차인 사망 시 보증금 누구한테 돌려줘하여야 하나요?

[대법원 / 이혼] 이혼할 테니까 결혼 때 준거 다 내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