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깡의 부동산정보

공동주택, 아파트단지에 들어간 것만으로 주거침입이 되나요?

by 복스럽다 생뚱 2022. 5. 12.
반응형

우리나라는 아파트,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빌라 등 공동주택이 약 70%의 주거형태를 차지합니다. 공동주택의 장점도 있지만 이에 따른 문제도 많은데, 공동주택의 주거침입은 어느때 해당하게 될까요?

 

공동주택 주거침입
공동주택 주거침입

 

▽▽ 함께 읽으면 유익한 포스팅 보러가기 ▽▽

 

 

[상식] 사자성어 아닌데..'내로남불'의 뜻과 유래는?

'내로남불'이라는 말, 일상적으로도 사용하고 TV에서도 흔하게 듣는 말입니다. 그런데 간혹 '내로남불'을 사자성어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사자성어는 중국의 고전에서 뜻과 유래가 있

88class.com

 

[소송서식/지급명령신청] 임차인이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에는?(첨부파일: 신청서양식)

임대인과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임차인은 매월 약정 임대료를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임차인이 고의 또는 사정에 의해 월임대료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있

88class.com

 

[공동주택관리 / 아파트] 동별 대표자 선거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을 의 선임하는 절차 및 입주

임대아파트가 아닌 분양일반아파트는 입주 후 입주자대표회의를 구성하게 됩니다.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원은 동별 대표자를 선출하고 그중에서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을 선출하게 됩니다. 동별

88class.com

 

[2022년도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금] 신청자격과 신청방법은?

 교육부와 전국17개 교육청은 2022년도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과 격차 등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급여를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교재 구매비용과 EBS 콘텐츠 학습보조금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88class.com

 

[대법원 / 중개보조인 불법행위] 임대인에게 책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웃님들~! 홍깡의 88 클래스입니다. 부동산(주택, 상가 등)을 거래하면서 임대인은 믿고 맡길만한 공인중개사를 통해 대부분 임차인과의 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공인중

88class.com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거침입에 대한 주거침입 가능성

 

 

반응형

 

 

1. 공동주택의 사용부분의 구분

 

첫째, 전유부분입니다.

 전유부분은 공동주택 내에서도 본인이 배타적으로 점유˙사용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즉 내가 사는 아파트 동·호수가 "자이 아파트 101동 1004호"라고 한다면 1004호는 나만의 전유 부분으로 배타적 사용 공간이 됩니다. 따라서 1004호는 거주자의 의사에 반하여 외부인이 출입할 경우에는 무조건 주거침입에 해당하게 됩니다.

 

 둘째,공용부분입니다.

 공용 부분은 공동주택 내에서 전유 부분을 제외한 주차장, 엘리베이터, 계단, 옥상 등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이때 외부인이 공용 부분을 출입하거나 이용할 때 주거침입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동주택, 즉 아파트나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주상복합 아파트, 빌라 등은 1층 및 지하층 등에 공동현관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현관문만 있고 관리가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기술의 발달과 아파트의 첨단화로 대부분의 공동주택 공동현관은 비밀번호와 키로 출입하게 되거나 경비원의 통제에 의해 출입할 수 있도록 변모하였습니다.

 

2.  2009. 08. 20. 선고 대법원 2009도3452호 공동주거침입

 

판시사항 1) 공동주택 내부에 있는 공용계단과 복도가 주거침입죄의 객체인 "사림의 주거"에 해당하는지 여부

2) 공동주택의 잠기지 않은 대문을 열고 들어가 공용계단으로 3층까지 올라갔다가 1층으로 내려온 사안에서, 주거침입죄가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1) 주거침입죄에 주거란 단순히 가옥 자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원 등 요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동주택 등 공동주택 안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계단과 복도는 주거로 사용하는 각 가구 또는 세대의 전용부분에 필수적으로 부속하는 부분으로서 그 거주자들에 의하여 일상생활에서 감시와 관리가 예정되어 있고 사실상의 주거의 평온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는 부분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거침입죄의 객체인 "사람의 주거"에 해당한다.

2) 공동주택의 잠기지 않은 대문을 열고 들어가 공용 계단으로 3층까지 올라갔다가 1층으로 내려온 사안에서, 주거의 공용계단에 들어간 행위가 거주자의 의사에 반한 것이라면 주거에 침입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2009년도 당시의 주거침입의 핵심은 "거주자의 의사에 반하여" 출입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거주자들 중에서 출입에 동의하였거나 묵인한 경우라면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외부인이 아무 이유 없이 공동주택에 출입하게 되면 주거침입에 해당합니다.

2009년도 당시에는 관리되지 않는 공동현관문으로 사용을 하는 공동주택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목적 없는 외부인이 출입하는 것은 모두 주거침입으로 보았습니다. 

 

▶ 공동주택에 배달 서비스, 택배는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가령, 101호의 거주자가 배달의민족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배달음식을 시킨 경우에는 102호 거주자의 의사에 반하여 출입을 하였더라도 101호가 배달을 위한 출입에 동의한 것이기 때문에 주거침입이 되지 않습니다.

 

▶ 공동주택에 전단지 배포는 주거침입에 해당합니다.

 가령, 전단지 배포자가 거주자들의 동의 또는 관리사무소의 승낙을 받지 않은 채 출입하여 전단지를 꽂아놓고 간 경우에는 거주자의 의사에 반한 출입이기 때문에 주거침입에 해당하게 됩니다.

 

 

3. 2022. 01. 27.선고 2021도15507호 주거침입

 

판시사항 1) 주거침입죄의 "침입"의 의미 및 판단기준과 침입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주거의 사실상의 평온상태를 해치는 경우에 이르러야 하는지 여부

2) 거주자가 아닌 외부인인 공동주택 내부의 엘리베이터, 공용계단, 복도 등 공용부분에 출입한 것이 주거침입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1) 침입이란 거주자가 주거에서 누리는 사실상의 평온상태를 해치는 행위를 의미하고, 침입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출입당시 객관적,외형적 행위기준을 판단하여야 한다. 
단순히 주거에 들어가는 행위 자체가 거주자의 의사에 반한다는 거주자의 주관적 사정만으로 바로 침입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2)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출입하는 경우, 그것이 거주자와 관리자에게만 부여된 비밀번호를 출입문에 입력하여야만 출입할 수 있거나, 동제관리하기 위한 표시나 경비원이 존재하는 등 외형적으로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통제관리하고 있는 사정이 존재하고, 외부인이 이를 인식하고서도 승낙없이 출입하는 경우에는 출입목적과 경위, 출입시간 등을 고려하여 거주자의 사실상의 주거의 평온상태를 해칠때에 주거침입에 해당한다.

 

■ 2022년 판결은 2009년도 판결에 비해 주거침입을 더욱 엄격히 해석해야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2009년 판결에서는 주거침입은 거주자의 의사에 반하는 경우로 보아 거주자의 동의·묵인이 없는 경우에는 모두 주거침입으로 보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판결에서는 주거침입은 "거주자의 의사" 뿐만 아니라 "사실상의 주거의 평온을 해칠 때"가 포함되어 거주자의 의사에 반하더라도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 부랑자가 공동현관을 출입하여도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주거침입에 해당되었지만, 현재는 사실상의 주거의 평온을 해친 경우가 아니라면 주거침입이 되지 않습니다.

 

▶ 2019년 신림동 강간미수 사건은 주거침입에 해당합니다.

그 당시 경찰은 강간미수로 처벌하려 하였고, 주거침입은 해당되는지 더 법률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판결은, 강간미수는 무죄이었고 주거침입은 인정되었습니다.

주거침입이 인정된 이유는 계속 설명한 것처럼 "사실상의 주거의 평온을 해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 상간녀, 상간남의 외도자의 주거 출입은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상간녀, 상간남이 외도하는 상대방의 집에 들어가게 되더라도 외도 상대방이 출입을 승낙하였기 때문에 피해자(외도자의 배우자)가 고소한 사건에서 주거 출입으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이 부분은 별도로 다시 한번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유익한 포스팅 보러가기 ▽▽

 

[대법원 / 불법촬영] 청바지입은 여성 뒷모습 촬영이 불법일까요?

[대법원/공인중개사] (원,투룸) 임대차 중개의뢰인에게 공인중개사가 자세한 설명을 안한다면?

[상식 / 사자성어] "사면초가"의 유래는?

[주택임대차] 세입자가 이사갈 때 장기수선충당금 돌려받고 있나요?

[대법원 / 로또 당첨금] 싸우지 말고 나눠가지면 됩니다

[대법원 / 불법촬영] 청바지입은 여성 뒷모습 촬영이 불법일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