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홍깡의 부동산정보212

공장을 임대했는데, 상가임대차법 적용이 될수도, 안될수도 있다? 공장 임대차도 상가임대차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을까?   임대차 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임차인이 건물을 비워주지 않는 경우, 임대인은 건물 인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만약 해당 건물이 공장이라면, 임차인은 상가임대차법(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의 판결이 이러한 논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1. 사건 개요원고(임대인)들은 피고(임차인)에게 공장 건물을 임대했습니다. 임대차 계약 기간이 만료되자 원고들은 피고에게 건물 반환을 요구했지만, 피고는 이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피고는 자신이 상가임대차법상 임차인에 해당하므로 계약 갱신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법적 다툼이 벌어졌습니다.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가 임차한 공장이 상가임대차법의 적.. 2025. 2. 13.
공인중개사가 권리관리 설명을 소홀히 했다면 손배배상 책임이 발생한다 부동산중개업자의 권리관계 확인 및 설명 의무와 손해배상 책임   부동산 거래에서 중개업자는 단순한 계약 중개를 넘어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할 책임이 발생하는데요. 특히, 중개업자가 매매나 임대차 계약을 중개할 때 중개 대상물의 권리관계를 명확히 확인하고, 이를 의뢰인에게 정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이를 소홀히 하여 의뢰인이 손해를 입었다면 공인중개사는 손해배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에 대한 법적 근거와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부동산중개업자의 확인·설명의무란?  1) 확인·설명의무의 개념부동산중개업법에 따르면, 중개업자는 거래 당사자가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사실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계약 조건 설명을 넘어서 등기부등본, 근저당권, 전.. 2025. 2. 12.
임대인이 임차인에 대해 안전배려의무와 도난방지의무에 대한 책임이 있을까 임대인의 안전배려의무와 도난방지의무: 법적 책임의 범위  임대차관계에서 임대인은 임차인의 거주 환경에 대해 어느 정도까지 책임을 져야 할까요? 특히 임차인의 안전을 배려해야 하는 의무나 도난 방지 의무가 임대인에게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종종 발생하는데요. 이에 대해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사건 개요  1996년 5월 19일, A(원고)는 B(피고)와 방 두 칸짜리 반지하 주택을 보증금 2천만 원 및 월세 40만 원에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하지만 임대목적물은 방범창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담장이 낮으며 대문도 없어 절도범이 쉽게 침입할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이에 따라 1996년 6월 15일 새벽 절도 사건(1차 도난 사건)이 발생해 약 200만 원 상당의 금품이 도난당했습니다... 2025. 2. 12.
전대차계약, 월세 체납 전차인의 계약해지 방법은? 전대차 계약에 대한 이해와 주요 사항 전대차 계약은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를 얻어 자신의 임차권을 제3자에게 양도하는 계약을 말하는데요. 이는 상가나 주택, 공장, 창고 을 포함한 다양한 임대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이 활용되는 형태입니다. 특히 샵앤샵, 공유오피스, 공유주방 등에서 전대차 계약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대차 계약을 통해 임차인은 자신의 임차권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이에 따르는 법적인 문제와 책임도 존재합니다.  1. 전대차 계약이란?  전대차 계약에서 임차인은 '전대인', 제3자는 '전차인'이라고 불립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의 관계는 그대로 유지되며, 전대인과 전차인 사이에 새로운 임대차 계약이 성립합니다. 즉, 전대차 계약은 임차권을 양도하는 .. 2025. 2. 11.
반응형